사회복지개론(Intriduction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의 성격과 본질, 사회복지의 분야와 방법론 등을 개관하여 사회복지의 기초개념과 가치를 익힌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Human Behaviour and Social Environment)
인간과 사회화의 복합적인 상호작용 형태를 연구 분석하고 사회적 및 대인적 서비스에 활용 될 수 있는 기술과 이론을 습득한다.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 조직을 운영하는데 있어 문제되는 행정상의 기술과정 및 문제점을 조직론의 이론에 따라 분석하고, 사회복지 조직을 경영하는데 필요한 기술과 지식을 습득한다.
장애인 복지론(Welfare Services for the Disabled)
다양한 종류의 장애의 형태와 발생경위들을 연구하여 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고취시키며, 장애인들이 직면하는 사회적 편견을 감소시키고, 불평등의 불이익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각종 심신장애의 요인과 한국의 장애인 실태 및 재활서비스에 관한 방안을 연구한다.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elfare)
사회복지실천방법으로서 지역사회조직의 개념, 의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하여 지역복지를 발전시킬 수 있는 제 이론 및 기술을 학습한다.
사회복지실천론 (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사회복지 실천에 대한 기초지식과 사회복지 실천모델을 바탕으로 사회복지 실천 대상별 사례관리등 분석 검토한다. 또한 수혜자들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사회복지법제 (Social Welfare Law)
사회복지법의 이념과 체계 그리고 사회사업 제반에 관련된 법령을 연구함으로써 전문사회사업가로서의 성장을 도모한다.
사회복지현장실습(Social Welfare On the Job Training)
사회복지 실천 이론을 현장에 적용하고 평가하여 실천기술을 연마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으로 개인별로 여러사회사업 기관에 배치되어 이론으로 배운 내용을 직접 실습을 해봄으로써 사회사업의 기술을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복지발달사(History of Social Welfare Development)
역사적으로 자본주의의 등장으로 인해 사회적 불평등이 초래된 과정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복지사회 이념이 수립되어 발전되어 온 사회적 노력의 전체과정을 학습한다.
보육학개론(Introduction to Edu-card)
보육교사로서의 전문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영유아보육의 이론 및 보육과정, 보육 기관의 유형 및 기능, 보육교사의 자질, 보육 프로그램 구성, 보육 시설 운영관리,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을 개괄적으로 학습한다.
보육실습(Field Work in childcare)
사회복지시설의 보육시설에서 관찰 및 참여의 기회를 갖고 영유아교육과정의 개발 및 실습 등의 경험을 통하여 보육교사의 전문적인 자질을 기른다.
아동발달(Child development)
유아의 성장발달을 심리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다루어 어린이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훌륭한 교사의 자질을 갖추도록 돕는 중심 교과이다. 유아 이해에 필요한 발달의 여러 이론과 지적, 심리적 ,신체적 등의 영역별 발달을 다룬다. 단계적 발달과정 및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유아발달에서는 태아기에서 영아기까지 , 유아기부터 아동후기까지의 발달을 체계적으로 배운다.
놀이지도(Instruction of play)
놀이이론과 실제지도방안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데 목적을 둔다. 강의의 구체적 내용으로는 놀이의 개념과 의의 및 놀이의 본질과 놀이이론 및 놀이연구의 역사와 연구동향, 놀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 놀이지도 방법과 놀이활동 및 환경구성 등 실제적인 면을 다루며 강의와 연구실제를 통하여 유아교육의 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육과정(Curriculum model for infants and young children)
보육과정의 기초가 되는 다양한 영유아프로그램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영아를 포함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유아까지 보육의 대상이 되는 아동들의 연령별 보육실제를 현장관찰 및 참여를 통하여 학습한다.
가족복지론(Social Work With Families)
사회적 여건에 따라 변화하는 가족을 이해하기 위해 가족구조, 가족의 기능, 가족의 생활 주기, 가족 문제 등에 관해 학습하고 가족복지정책과 서비스 현황 등에 관하여 고찰한다. 그리고 가족의 문제에 대한 사정과 치료적 접근들을 교육한다.
아동청소년복지론(Welfare for the Child and Youth)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아동과 청소년의 성장 발육에 관련되는 제반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초로 다루고, 사회제도 및 사회사업 프로그램을 통한 아동 및 청소년 문제 전반에 대한 예방과 치료 대한 예방과 대책을 강의한다.
공중보건학(Public Health)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증진과 질병예방 및 정신적, 육체적 효율을 높혀 사회적 안녕상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보건지식을 습득시켜 국민 보건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정보검색(Information Retrieval)
급변하는 정보화시대에 산재한 정보 중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 가공하는 기술을 익힘으로써 관련된 업무에서 활용능력을 배양